#플라빅스정75mg #플라빅스정75mg복용 #플라빅스정75mg부작용 #플라빅스정75mg이상반응
아프면 병원에 가고, 병원에 가서 검사를 받고, 의사가 처방한 약을 먹잖아요?
그러다보면 문득 이 약이 뭘까? 하는 생각이 들 때가 있더라고요.
내 몸에 맞는 약인지, 부작용은 없는지, 어디에 작용하는 약인지 등..
궁금한 데 어디가서 물어볼 수도 없고, 그렇다고 안 먹을 수도 없고.
그래서 인터넷상에 올라온 약 종류에 대한 글을 적으려고 해요.
의사나 약사가 아니라서 글이 정확하지 않다는 점 유의하시고 읽어주세요.
(가장 정확한 방법은 의사나 약사와 얘기하는 거예요~)
조금이나마 포스팅을 읽는 분들께 도움이 됐으면 좋겠네요 :)
출처는 https://terms.naver.com/medicineSearch.nhn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140991&cid=51000&categoryId=51000
이상반응
이 약의 안전성은 이 약을 1년 이상을 투여한 12,000명을 포함한 44,000명 이상의 환자를 대상으로 평가되었다. 이 약의 전반적인 내약성은 연령, 성별, 인종과 관계없이 아스피린과 비슷하였다. 이상반응 발현으로 투여를 중단한 환자는 대략 아스피린과 같은 빈도(13%)였다. CAPRIE, CURE, CLARITY, COMMIT, ACTIVE-A, ACTIVE-W 연구에서 관찰된 임상적으로 중요한 이상반응은 아래와 같다.
1) 출혈장애
- CAPRIE 연구에서, 이 약과 아스피린 투여군에서 전반적인 출혈의 발생빈도는 동일했으며(9.3%), 중증의 출혈 발생빈도는 이약 투여군에서 1.4%, 아스피린 투여군에서 1.6%로 각각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전반적인 위장관 출혈률이 이 약 투여군에서 2.0%이였고, 이 중 0.7%가 입원을 필요로 하였다. 반면, 아스피린을 투여한 환자군의 경우, 위장관 출혈률이 2.7%이였고 입원이 필요한 경우는 1.1%였다. 그 외에 기타 출혈의 발생빈도는 이 약 투여군에서 7.3%로서, 아스피린(6.5%)의 경우보다 높았다. 그러나 이 중에서 중증의 출혈 발생빈도는 두 치료군에서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0.6% 대 0.4%). 또한, 자반/좌상/혈종(purpura/bruising/ haematoma)과 비출혈(epistaxis)이 가장 빈번하게 발생되었으며, 혈종, 혈뇨, 안구내출혈(주로 결막 부위)은 덜 빈번하게 보고되었다. 두개내 출혈률은 아스피린의 경우 0.5%이고 이 약은 0.4%였다.
- CURE 연구에서 위약과 아스피린을 투여받은 환자군에서보다 이약과 아스피린을 병용투여한 환자군에서 주요한 출혈 및 경미한 출혈이 증가되었다(주요한 출혈의 발생빈도 2.7% 대 3.7%, 경미한 출혈의 발생빈도 2.4% 대 5.1%). 주요한 출혈이 주로 발생되는 위치는 위장관계 및 천자(puncture) 부위 등이었다. 위약과 아스피린을 투여받은 환자군과 비교하여 이 약과 아스피린을 병용투여 받은 환자군에서 생명을 위협하는 출혈의 발생빈도 증가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1.8% 대 2.2%). 두 치료군에서 치명적인 출혈의 발생빈도는 차이가 없었다(두 군 모두 0.2%). 생명을 위협하지 않는 주요한 출혈의 발생빈도는 위약과 아스피린 투여군에 비해 이 약과 아스피린 투여군에서 유의하게 높았고(1.0% 대 1.6%), 두 치료군에서 두개내 출혈률은 0.1%로 동일하였다.
- CURE 연구에서, 이 약과 아스피린의 병용투여군에서의 출혈률은 아래의 표와 같다(%환자).
증 상 |
클로피도그렐 |
위 약 |
P-value |
(+ 아스피린)* |
(+ 아스피린)* |
||
(n=6,259) |
(n=6,303) |
||
주요한 출혈 |
3.7**(a) |
2.7**(b) |
0.001 |
?생명을 위협하는 출혈 |
2.2 |
1.8 |
0.13 |
- 치명적 |
0.2 |
0.2 |
|
- 5 g/dL 헤모글로빈 저하 |
0.9 |
0.9 |
|
- 수술적 중재가 요구 |
0.7 |
0.7 |
|
- 출혈성 뇌졸중 |
0.1 |
0.1 |
|
- 변력제 사용이 요구 |
0.5 |
0.5 |
|
- 수혈을 요구 (≥4 units) |
1.2 |
1 |
|
?기타 주요한 출혈 |
1.6 |
1 |
0.005 |
- 상당한 정도의 기능부전 |
0.4 |
0.3 |
|
- 상당한 시력 손실을 동반한 안구내 출혈 |
0.05 |
0.03 |
|
- 2~3 units의 수혈을 요구 |
1.3 |
0.9 |
|
경미한 출혈*** |
5.1 |
2.4 |
<0.001 |
* 적당한 다른 표준요법제가 치료중 사용되었다.
**(a) 클로피도그렐 + 아스피린에 의한 주요한 출혈 증상의 발현율은 아스피린에 대해 용량 비례적이었다( <100 mg = 2.6 % ; 100 ∼ 200 mg = 3.5 % ; >200 mg = 4.9 %).
**(b) 위 약 + 아스피린에 의한 주요한 출혈 증상의 발현율은 아스피린에 대해 용량 비례적이었다( <100 mg = 2.0 % ; 100 ∼ 200 mg = 2.3 % ; >200 mg = 4.0 %).
*** 이로 인해, 약물의 투여가 중지되었다.
- CURE 연구에서, 대상 환자의 92 %가 헤파린 및 저분자량 헤파린을 투여 받았으며 이들 환자의 출혈률은 이 약의 전반적인 결과와 유사하였다. 최소한 수술 5일 전부터 이 약의 투여를 중지한 환자에게서 관상동맥회로우회술 이후 7일 이내에 주요한 출혈이 추가로 관찰되지 않았다(이 약과 아스피린 투여군에서 4.4 %, 위약과 아스피린 투여군에서 5.3 %).
관상동맥회로우회술 이전 5일 이내에 이 약을 투여 받은 환자군에서, 출혈성 증상의 발현율은 이 약과 아스피린 투여군에서 9.6 %, 위약과 아스피린 투여군에서 6.3 %였다.
- CLARITY연구에서 주요한 출혈(두개 내 출혈 또는 헤모글로빈이 5 g/dL 이상 감소하는 것과 관련된 출혈)의 발생은 두 투여군에서 유사하게 나타났다(이 약+아스피린 투여군과 위약+아스피린 투여군에서 각각 1.3 % vs 1.1 %). 이는 기본적 특징과 섬유소 용해제의 유형 또는 헤파린 요법에 따른 환자 서브그룹에서 일관되었다. 치명적인 출혈의 발생 (이 약+아스피린 투여군과 위약+아스피린 투여군에서 각각 0.8 % vs 0.6 %)과 두개 내 출혈(각각 0.5 % vs 0.7 %)은 두 그룹에서 낮고 비슷하게 나타났다.
- COMMIT연구에서 뇌 이외의 주요한 출혈 또는 뇌에서의 출혈은 위 표에서와 같이 두 그룹에서 낮고 비슷하게 나타났다. COMMIT연구에서 출혈이 발생한 환자수(%)는 다음과 같다.
출혈 |
클로피도그렐 (+아스피린) |
위약 (+아스피린) |
P-Value |
(N=22,961) |
(N=22,891) |
||
주요한* 뇌 이외의 출혈 또는 뇌에서의 출혈** |
134 (0.6 %) |
125(0.5 %) |
0.59 |
주요한 뇌 이외의 출혈 |
82 (0.4 %) |
73 (0.3 %) |
0.48 |
치명적 |
36 (0.2 %) |
37 (0. 2%) |
0.9 |
출혈성 뇌졸중 |
55 (0.2 %) |
56 (0.2 %) |
0.91 |
치명적 |
39 (0.2 %) |
41 (0.2 %) |
0.81 |
다른 뇌 이외의 출혈 (주요하지 않은) |
831 (3.6 %) |
721 (3.1 %) |
0.005 |
그 밖에 뇌 이외의 출혈 |
896 (3.6 %) |
777 (3.4 %) |
0.004 |
* 주요한 출혈은 뇌에서의 출혈 또는 뇌 이외의 출혈로 사망에 이르거나 또는 수혈을 요하는 정도를 말함
** 주요한 뇌 이외의 또는 뇌에서의 출혈의 상관비율은 연령과 무관하였다. 연령에 따른 이 약 + 아스피린 투여군의 발생률은 60세 미만=0.3 %, 60 ~ 70세= 0. 7%, 70세 이상=0.8 %로 나타났다. 위약+아스피린 투여군에서는60세 미만=0.4 %, 60~70세= 0.6 %, 70세 이상=0.7 %로 나타났다.
- ACTIVE-A 연구에서 주요한 출혈의 발생률은 이 약과 아스피린 병용투여군이 위약과 아스피린 투여군보다 높았으며 (6.7 % 대 4.3 %), 주요한 출혈은 대부분 두개외 출혈이었고(5.3% 대 3.5%), 주로 위장관 출혈이었다(3.5 % 대 1.8 %). 두개내 출혈의 발생률은 이 약과 아스피린 투여군에서 더 높았다(1.4 % 대 0.8 %). 치명적인 출혈 및 출혈성 뇌졸중의 발생률은 두 군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치명적인 출혈: 1.1 % 대 0.7 %, 출혈성 뇌졸중: 0.8 % 대 0.6 %).
출혈 |
발생 건수 (발생률 %)c |
HazardRatio(%) (95% CI) |
|
|
클로피도그렐 + 아스피린 |
위약 + 아스피린 |
p-Value |
||
(n=3,772) |
(n=3,782) |
|||
주요한 출혈a,b |
251 (6.7) |
162 (4.3) |
1.6 (1.3 to 1.9) |
<0.0001 |
중증의 출혈a,b |
190 (5.0) |
122 (3.2) |
1.6 (1.3 to 2.0) |
<0.0001 |
치명적인 출혈 |
42 (1.1) |
27 (0.7) |
1.6 (1.0 to 2.5) |
0.068 |
두개내 출혈*a,b |
54 (1.4) |
29 (0.8) |
1.9 (1.2 to 2.9) |
0.0056 |
경미한 출혈 |
408 (10.8) |
175 (4.6) |
2.4 (2.0 to 2.9) |
<0.0001 |
모든 출혈b |
1014 (26.9) |
651 (17.2) |
1.7 (1.5 to 1.8) |
<0.0001 |
a: 판정된 사례
b: 출혈은 아니었으나 출혈성 뇌졸중으로 판단된 환자 1명 포함
c: 클로피도그렐+아스피린 군에서 연령에 따른 주요한 출혈의 발생률: 65세 미만=3.3 %, 65 ~ 75세=7.1 %, 75세 이상=8.3 %, 아스피린 단독 군에서의 연령에 따른 주요한 출혈의 발생률: 65세 미만=1.9 %, 65 ~ 75세=3.9 %, 75세 이상=6.0 %
*: 출혈성 뇌졸중과 경막하 혈종을 포함하는 두개내 출혈
- ACTIVE-W 연구에서, 주요한 출혈의 발생은 이 약과 아스피린 병용투여군과 경구용 항응고제 투여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치명적인 출혈은 두 군에서 모두 낮게 보고되었다(0.21 % 대 0.33 %). 출혈의 총 발생률은 경구용 항응고제 투여군에 비해 이 약과 아스피린 병용투여군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출혈 |
발생 건수 (발생률 %) |
|
HazardRatio(%) (95% CI) |
|
|
클로피도그렐 + 아스피린 |
경구용 항응고제 |
|
p-Value |
|
(n=3,335) |
(n=3,371) |
|
|
주요한 출혈a |
101 (3.03) |
93 (2.76) |
1.09 (0.82 to1.45) |
0.5101 |
중증의 출혈a |
69 (2.07) |
63 (1.87) |
1.10 (0.78 to1.55) |
0.5554 |
치명적인 출혈 |
7 (0.21) |
11 (0.33) |
0.64 (0.25 to1.65) |
0.3569 |
두개내 출혈a,b |
13 (0.39) |
23 (0.68) |
0.52 (0.26 to1.05) |
0.1012 |
경미한 출혈 |
208 (6.24) |
238 (7.06) |
0.88 (0.73 to1.06) |
0.1761 |
모든 출혈 |
644(19.31) |
556 (16.49) |
1.20 (1.07 to1.34) |
0.0026 |
a : 판정된 사례
b : 출혈은 아니었으나 출혈성 뇌졸중으로 판단된 환자 1명 포함
ACTIVE-A 연구와 ACTIVE-W 연구는 각각 ACTIVE 프로그램에 속한 개별 연구로서, 한 가지 이상의 혈관성 사건의 위험인자를 가지고 있는 심방세동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 환자 중, 피험자 등록 기준에 근거하여, Vitamin K 길항약(와르파린 등)을 투여 받기에 적합한 환자는 ACTIVE-W 연구에 배정되었고, Vitamin K 길항약을 투여 받기에 적합하지 않은 환자(Vitamin K 길항약을 투여 받을 수 없거나 환자가 원하지 않는 경우)는 ACTIVE-A 연구에 배정되었다.
ACTIVE-W 연구 결과, Vitamin K 길항약이 이 약과 아스피린 병용투여군에 비해 더 효과가 높았다.
2) 혈액학적 장애(호중구감소증/무과립구증 등)
- CAPRIE 연구에서, 중증의 호중구감소증(<0.450 G/L)이 6례 발생하였는데, 이중 이 약 투여군에서 4례(0.04 %), 아스피린 투여군에서 2례(0.02 %) 발생하였다.
이 약을 투여한 환자 9,599명중 2명의 호중구 수치가 0이었으나, 아스피린을 투여한 9,586명의 환자에서는 이러한 증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 약 투여군의 4명의 환자 중, 1명은 세포독성 화학요법을 받고 있었으며 다른 1명은 이 약의 일시적 중단 후 회복되어 임상시험에 복귀하였다. ※ 이 약과 화학적으로 유사한 티클로피딘에 의한 중증의 호중구감소증 발생률은 0.8 %이었다(<0.450 G/L).
재생불량성 빈혈이 이 약 투여군에서 1례 발생하였다. 중증의 혈소판감소증(<80 G/L) 발생률은 이 약 투여군에서 0.2 %, 아스피린 투여군에서 0.1 %였으며, 혈소판 수가 30G/L 이하로 감소한 사례는 매우 드물게 보고되었다.
- CURE 연구에서, 혈소판감소증 발생률은 이 약과 아스피린 투여군에서 19명, 위약과 아스피린 투여군에서 24명, 무과립구증 발생률은 각각 3명씩으로 유사하게 나타났다.
이 약의 골수독성 위험은 상당히 낮지만, 이 약을 투여한 환자에서 열 또는 다른 감염 증상이 나타날 경우에는 골수독성의 가능성을 고려해야 한다.
3) 위장관계 증상
CAPRIE 연구에서, 전반적으로 이 약을 투여한 환자에서 위장관계 증상(예, 복부통, 소화 불량, 위장염 또는 변비)의 발생빈도는 27.1 %인데 비해, 아스피린을 투여한 환자에서는 29.8 %였다. CURE 연구에서의 위장관 증상의 발생빈도는 이 약과 아스피린 투여군에서 11.7 %, 위약과 아스피린 투여군에서 12.5 %였다.
- CAPRIE 연구에서, 소화성(위 또는 십이지장) 궤양의 발생빈도는 이 약 투여군은 0.7 %, 아스피린 투여군은 1.2 %이었다. CURE 연구에서는 소화성(위 또는 십이지장) 궤양의 발생빈도는 이 약과 아스피린 투여군에서 0.4%, 위약과 아스피린 투여군에서 0.3 %였다.
- CAPRIE 연구에서, 설사는 아스피린 투여군에서 3.4 %인데 비해 이 약 투여군에서는 환자의 4.5 %에서 보고되었다. 하지만, 중증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이 약 투여군 0.2 %, 아스피린 투여군 0.1 %). CURE 연구에 의하면, 설사가 이 약과 아스피린 투여군에서 2.1 %, 위약과 아스피린 투여군에서 2.2 % 나타났다.
- CAPRIE 연구에서, 위장관계 이상반응으로 투여를 중단한 환자의 빈도는 이 약 투여군에서 3.2 %, 아스피린 투여군에서는 4.0 %였다. CURE 연구에 의하면, 위장관계 이상반응으로 인해 투여가 중단된 환자의 빈도가 위약과 아스피린 투여군에서 0.8 % 인데 비해서 이 약과 아스피린 투여군에서는 0.9 %였다.
4) 발진 및 기타 피부 질환
- CAPRIE 연구에서, 이 약을 투여한 환자군의 피부 및 피부 부속기관에서 이상반응 발생빈도는 15.8 %였고(중증 이상반응 0.7 %), 아스피린을 투여한 환자군 에서는 13.1 %였다(중증 이상반응 0.5 %). CURE 연구에서의 피부 및 피부 부속기관의 이상발생 빈도는 이 약과 아스피린 투여군에서는 4.0 %, 위약과 아스피린 투여군에서는 3.5 %였다.
- CAPRIE 연구에서, 피부 및 피부 부속기관의 이상반응으로 이 약의 투여를 중단한 환자의 전반적인 발생 빈도가 1.5 %인 반면, 아스피린 투여군에서는 0.8 %였다. CURE 연구에 의하면, 피부 및 피부 부속기관의 이상반응으로 약의 투여를 중단한 환자의 발생 빈도가 이 약과 아스피린 투여군에서는 0.7 %, 위약과 아스피린 투여군에서는 0.3 %였다.
5) CAPRIE의 임상 연구에서 이 약과의 관련성과 관계없이 이 약을 투여받은 환자군에서 그 발현율이 2.5 % 이상인 이상반응은 아래표와 같았다. 평균 치료기간은 20개월이었고, 최장 치료기간은 3년이었다.
* CAPRIE 연구에서, 이 약을 투여한 환자군에서 2.5 % 이상 나타난 이상반응
증 상 |
%빈도(%중단) |
|
클로피도그렐(n=9,599) |
Aspirin(n=9,586) |
|
전신 |
|
|
흉통 |
8.3(0.2) |
8.3(0.3) |
사고성 상해 |
7.9(0.1) |
7.3(0.1) |
인플루엔자 유사질환 |
7.5(<0.1) |
7.0(<0.1) |
통증 |
6.4(0.1) |
6.3(0.1) |
피로 |
3.3(0.1) |
3.4(0.1) |
심혈관계 |
|
|
부종 |
4.1(<0.1) |
4.5(<0.1) |
고혈압 |
4.3(<0.1) |
5.1(<0.1) |
중추 및 말초신경계 |
|
|
두통 |
7.6(0.3) |
7.2(0.1) |
현기증 |
6.2(0.2) |
6.7(0.3) |
소화기계 |
|
|
복부통 |
5.6(0.7) |
7.1(1.0) |
소화불량 |
5.2(0.6) |
6.1(0.7) |
설사 |
4.5(0.4) |
3.4(0.3) |
구역 |
3.4(0.5) |
3.8(0.4) |
대사 및 영양 |
|
|
고콜레스테롤혈증 |
4.0(0) |
4.4(<0.1) |
근육-골격기계 |
|
|
관절통 |
6.3(0.1) |
6.2(0.1) |
요통 |
5.8(0.1) |
5.3(<0.1) |
혈소판, 출혈 및 응고 |
|
|
자반/좌상 |
5.3(0.3) |
3.7(0.1) |
비출혈 |
2.9(0.2) |
2.5(0.1) |
정신계 |
|
|
우울 |
3.6(0.1) |
3.9(0.2) |
호흡기계 |
|
|
상부호흡기계 감염 |
8.7(<0.1) |
8.3(<0.1) |
호흡 곤란 |
4.5(0.1) |
4.7(0.1) |
비염 |
4.2(0.1) |
4.2(<0.1) |
기관지염 |
3.7(0.1) |
3.7 (0) |
기침 |
3.1(<0.1) |
2.7(<0.1) |
피부 및 부속기관 |
|
|
발진 |
4.2(0.5) |
3.5(0.2) |
소양증 |
3.3(0.3) |
1.6(0.1) |
비뇨기계 |
|
|
요로 감염 |
3.1(0) |
3.5(0.1) |
6) CURE 연구에서, 이 약과의 관련성과 관계없이 이 약을 투여받은 환자군에서 그 발현율이 2.0 % 이상인 이상반응은 아래 표와 같다.
* CURE 연구에서, 이 약을 투여한 환자군 에서 2.0% 이상 나타난 이상반응
증 상 |
%빈도(%중단) |
|
클로피도그렐 |
위 약 |
|
(+ 아스피린)* |
(+ 아스피린)* |
|
[n=6,259] |
[n=6,303] |
|
전신 |
|
|
흉통 |
2.7 (< 0.1) |
2.8 (0.0) |
중추 및 말초신경계 |
|
|
두통 |
|
|
현기증 |
3.1 (0.1) |
3.2 (0.1) |
|
2.4 (0.1) |
2.0 (<0.1) |
소화기계 |
|
|
복부통 |
2.3 (0.3) |
2.8 (0.3) |
소화불량 |
2.0 (0.1) |
1.9 (<0.1) |
설사 |
2.1 (0.1) |
2.2 (0.1) |
* 적당한 다른 표준요법제가 치료중 사용되었다.
7) 그 외에, CAPRIE 또는 CURE 연구에서 이 약 투여와 관련 없이 환자의 1 ~ 2.5 %에서 나타난 발현 가능성이 있는 중요한 이상반응들은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이 증상들의 빈도는 아스피린 투여군(CAPRIE 연구에서) 또는 위약과 아스피린 투여군(CURE 연구에서)과 유사하였다.
(1) 자율신경계 : 실신, 심계항진
(2) 전신 : 무력증, 발열, 헤르니아
(3) 심혈관계 : 심부전, 심방세동
(4) 중추 및 말초 신경계 : 다리 경련, 감각 감퇴증, 신경통, 감각이상증, 어지럼
(5) 소화기계 : 변비, 구토
(6) 간담도계 : 간효소의 증가
(7) 대사와 영양 : 통풍, 고요산혈증, 비단백질성 질소(NPN)의 증가
(8) 근골격계 : 관절염. 관절증
(9) 정신계 : 불안, 불면증
(10) 혈액 및 림프계 : 빈혈, 위장관 출혈, 혈종, 혈소판 감소
(11) 호흡기계 : 폐렴, 부비동염
(12) 피부 및 피부 부속기관 : 습진, 피부 궤양
(13) 비뇨기계 : 방광염
(14) 눈 : 백내장, 결막염
8) CAPRIE 또는 CURE 연구에서, 이 약 투여와 관련 없이 1 % 이하로 드물게 보고되었지만 임상적으로 중요하고 발현 가능성이 있는 중증의 이상반응은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이들 증상의 빈도는 아스피린 투여군(CAPRIE 연구에서) 또는 위약과 아스피린 투여군(CURE 연구에서)과 유사하였다.
(1) 전신 : 알레르기 증상, 허혈성 괴사
(2) 심혈관계 : 전신 부종
(3) 소화기계 : 위염, 출혈성 위장염, 십이지장 궤양, 위궤양, 천공성 위궤양, 상부 위장관 궤양 출혈, 고창
(4) 간담도계 : 빌리루빈혈증, 감염성 간염, 지방간
(5) 혈소판, 출혈과 응고성 질환 : 출혈성 관절증, 혈뇨증, 객혈, 두개내출혈, 후복막 출혈, 수술상처출혈, 안구출혈, 폐출혈, 자반 알레르기, 혈소판감소증, 출혈시간 증가
(6) 혈액 및 림프계 : 재생불량성 빈혈, 혈색소감소 빈혈, 무과립구증, 과립구감소증, 백혈병, 백혈구감소증, 호중구감소증, 호산구증가증
(7) 생식기계 : 월경 과다
(8) 호흡기계 : 혈흉증
(9) 피부 및 피부 부속기관 : 대수포진, 홍반성 피진, 반점상구진, 두드러기
(10) 비뇨기계 : 신기능 이상, 급성 신부전
9) 외국에서의 시판 후 사용을 통해 보고된 이상반응을 발현부위별로 구분하였다. (빈도 불분명)
(1) 혈액 및 림프계 :
① 중증의 출혈 : 주로 피부(자반), 근골격계(출혈성 관절증, 혈종), 안구(결막, 안구내, 망막 부위) 및 기도 부위에서의 출혈(객혈, 폐출혈), 비출혈, 혈뇨 및 수술 상처의 출혈
② 치명적인 출혈(특히, 두개골내, 위장관계 및 후복막강 출혈)
무과립구증, 재생불량성 빈혈/범혈구감소증 및 혈전성 혈소판감소성 자반증(TTP)(1/200,000 노출 환자), 중증의 혈소판감소증(혈소판 수치≤30 x 109/L), 후천성 혈우병 A
(2) 심장계 : 클로피도그렐에 의한 과민반응의 일환으로 Kounis 증후군(알레르기성 혈관경련성 협심증/알레르기성 심근 경색)
(3) 면역계 : 아나필락시스모양 반응, 혈청병 티에노피리딘계 약물들 (예: 티클로피딘, 프라수그렐)과 교차과민반응
(4) 정신계 : 혼돈, 환각
(5) 신경계 :?미각이상, 미각상실
(6) 혈관계 : 혈관염, 저혈압
(7) 호흡기계 : 기관지경련, 간질성폐렴, 호산구성 폐렴
(8) 소화기계 : 대장염(궤양성 대장염 또는 림프구성 대장염 포함), 췌장염, 위염, 구내염
(9) 간담도계 : 간염, 급성 간부전
(10) 피부 및 피하조직 : 반점상구진 홍반성 또는 박탈성 피부 발진, 두드러기, 가려움, 혈관부종, 수포성 피부염(다형홍반, 피부점막안증후군(스티븐스-존슨 증후군), 독성표피괴사용해(리엘증후군), 급성전신성 발진성 농포증 (AGEP) 등), 약물-유발 과민증후군, 호산구증가와 전신적 증상을 동반한 약물발진 (DRESS), 습진, 편평태선
(11) 근골격계 : 관절통, 관절염, 근육통
(12) 신장 및 비뇨기계 : 사구체병증
(13) 생식기계 및 유방 질환: 여성형 유방
(14) 전신 및 투약부위 : 발열
(15) 검사치 이상 : 간기능 수치 비정상, 혈액 크레아티닌 증가
10) 국내 시판 후 조사결과
(1) 국내에서 재심사를 위하여 6년 동안 4,295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시판 후 조사결과 이상반응의 발현증례율은 인과관계와 상관없이 9.78 %(420례/4,295례)로 보고되었고, 이 중 이 약과 인과관계가 있는 것으로 조사된 것은 6.50 %(279례/4,295례)이다. 현기증이 1.19 %(51례)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은 소화불량 1.12 %(48례), 두통 1.07 %(46례)의 순으로 나타났다.
(2) 이 외에 1 % 미만으로 보고된 이상반응은 다음과 같다.
① 중추 및 말초신경계 : 운동기능감소증, 진전, 음성장애, 비정상보행, 과운동증, 운동실조, 지각이상
② 소화기계 : 변비, 구역, 설사, 궤양, 복통, 식욕부진, 구토, 딸꾹질, 구갈, 연하곤란, 혀질환
③ 정신신경계 : 불면, 우울증, 건망증, 불안, 경면, 사고이상, 비정상 행동
④ 골격근계 : 관절통, 근육통, 요통, 관절증
⑤ 전신 : 흉통, 체중감소, 체중증가, 안면홍조, 피로, 무력, 경직, 얼굴부종, 실신
⑥ 혈액계 : 자반병, 혈변, 비출혈, 출혈, 뇌출혈, 혈종, 혈뇨증, 객혈, 근육출혈, 두개내출혈, 안구출혈, 치은출혈, 혈소판감소증, 빈혈
⑦ 호흡기계 : 기침, 호흡곤란, 비염
⑧ 감각기관 : 시각이상, 시야장애, 안구건조증, 일시적 실명, 충혈, 이명, 미각도착
⑨ 요로계 : 배뇨장애, 빈뇨증, 비단백질소증가, 요독증, 혈중요소질소 증가
⑩ 대사 및 영양 : 저혈당증, 고요산혈증
⑪ 간담도계 : 간효소 증가, ALT 상승, 간기능 이상
⑫ 심혈관계 : 다리부종, 부정맥, 서맥, 심계항진
⑬ 피부 및 부속기계(투여부위 포함) : 발진, 가려움, 접촉피부염
⑭ 생식기계 : 여성형 유방, 전립선특이항원(PSA) 상승
(3) 이 중 시판 전 임상시험에서 나타나지 않았던 새로운 이상반응 중 약과의 인과관계를 배제할 수 없는 것으로 식욕부진, 체중감소 각 7건, 시각이상 4건, 경면, 체중증가, 안면홍조 각 3건, 운동기능감소증, 구갈, 건망증, 사고이상, 빈뇨증, 부정맥 각 2건, 진전, 음성장애, 비정상보행, 과운동증, 운동실조, 딸꾹질, 연하곤란, 혀질환, 비정상 행동, 경직, 시야장애, 안구건조증, 일시적 실명, 충혈, 배뇨장애, 요독증, 저혈당증, 서맥, 이명, 접촉피부염, 여성형유방, PSA 상승 각 1건으로 보고되었다.
11) 국내 시판 후 이상사례 보고자료(1989-2015년)를 토대로 실마리정보 분석·평가 결과 새로 확인된 이상사례는 다음과 같다. 다만, 이로서 곧 해당성분과 다음의 이상사례 간에 인과관계가 입증된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 소화기계 : 담낭염, 토혈
- 혈액 및 림프계 : 척수혈종
‧₊˚.⋆·ฺ.∗̥✩⁺˚ ੈ‧˚૮꒰˵• ﻌ •˵꒱აੈ✩‧₊˚ੈ*:゚*。.⋆·ฺᐝ.∗̥⁺˚
'약 효능효과, 부작용, 주의사항'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약] 프로페시아정1mg 효능 효과, 부작용, 이상반응, 주의사항 (0) | 2019.05.22 |
---|---|
[약] 베타미가서방정50mg 효능 효과, 부작용, 이상반응, 주의사항 (0) | 2019.05.22 |
[약] 글리아타민연질캡슐 효능 효과, 부작용, 이상반응, 주의사항 (0) | 2019.05.22 |
[약] 플라빅스정75mg 효능 효과, 부작용, 이상반응, 주의사항 (0) | 2019.05.22 |
[약] 미노씬캡슐50mg 효능 효과, 부작용, 이상반응, 주의사항 (0) | 2019.05.22 |
[약] 알마겔정 효능 효과, 부작용, 이상반응, 주의사항 (0) | 2019.05.22 |
[약] 자낙스정0.25mg 효능 효과, 부작용, 이상반응, 주의사항 (0) | 2019.05.21 |
[약] 자낙스정0.25mg 부작용, 이상반응 (0) | 2019.05.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