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그나뢰크 (*신들과 인간세계의 종말)

일반적으로 ‘신들의 황혼’이라고 번역되고 있으나, ‘신(지배자)들의 운명' 혹은 ‘신들의 몰락’을 의미한다. 오딘신(神)의 아들이며 광명의 신인 발드르가 사신(邪神) 로키의 간계로 죽자, 신들의 황금시대는 끝나고 세계는 혼란 속에 빠진다.



여름도 없는 겨울이 여섯 번씩 계속되면서 굶주림이 찾아오고, 인륜(人倫)이 무너져 동족상잔과 근친상간이 만연한다. 이때 남쪽에 있는 초열(焦熱)의 나라 무스펠하임에서 거인과 악령들이 일제히 일어나 로키를 선두로 아스가르드에 쇄도, 거랑(巨狼) 펜리르가 주신(主神) 오딘을 삼켜버리고, 토르는 므욜니르(번개망치)로 요르문간드의 뱀을 쓰러뜨리지만 그가 토해낸 독기를 쐬고 자신도 쓰러진다. 


마지막으로 불꽃의 거인 수르트가 프레이르를 죽이고 우주를 지탱하던 위그드라실의 거수(巨樹)를 불태움으로써 육지는 바닷 속에 잠겨 세계는 멸망한다. 그러나 마침내 바닷속에서 새로운 육지가 다시 떠올라 살아남은 2명의 남녀와 저승에서 돌아온 발드르에 의해 새로운 세계가 시작된다. 


이같은 종말관(終末觀)·신천지(新天地)의 탄생은 그리스도교와 동방세계의 종말관의 영향이 큰 것으로 보인다. 바그너의 오페라 《신들의 황혼》은 이 라그나뢰크 신화를 《니벨룽겐의 반지》 전설과 결부시켜 만들어진 것이다.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라그나뢰크 (두산백과)






라그나뢰크


신들은 선택된 인간 전사들과 함께 맞서 싸웠다.


결국 전쟁에서 살아남은 자는 거의 없고 세계는 불과 물이 넘쳐서 멸망하고 말았다.


사람들은 이 거인족과 신들의 마지막 전쟁을 라그나뢰크, 즉 '위대한 신들의 운명'이라고 부른다.


이 '라그나=위대한 신들(ragna 또는 regin)'이라는 단어는 두 가지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하나는 말 그대로 아스 신족을 표현하는 사고방식으로, 라그나뢰크는 신들에게는 피할 수 없는 숙명이며, 그에 따라 죽어가는 예언을 실현하는 의미를 갖게 된다. 이러한 해석은 비교적 일반적인 설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신 에다』를 지은 스노리 스튀를뤼손 등은 '신들의 멸망'을 강조했기 때문에 라그나뢰크를 '위대한 신들의 어둠'이라는 말로 바꾸어 해석하고 있다. 그리고 라그나뢰크를 '신들의 황혼(Götterdämmerung)'이라는 시적 표현으로 표현한 사람은 독일의 작곡가 바그너였다.


이와 다른 또 하나의 주장은 '라그나=위대한 신들'을 아스 신족보다 힘있는 상위의 신으로 해석하는 것이다. 실제로 「알비스가 말하기를」에서는 세상을 구성하는 주요한 종족으로 인간, 요정 알브(엘프), 소인 드베르그(드워프), 거인 요툰, 아스 신족, 반 신족 외에도 '상위신들(upregin)'이라든지, '보다 높은 신들(ginregin)'이라고 불리는 자들이 등장한다. 또 프레이나 뇨르드는 신들의 제사장으로 설정되어 있지만, 제사장은 신에게 제사지내는 자이기 때문에 아스 신들도 제사를 올리는 보다 상위의 신들이 있었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 해석에 따르면 라그나뢰크는 '보다 높은 신이 보다 낮은 신들과 거인들에게 내리는 재판'이라는 의미가 된다. 그러나 이 주장의 문제점은 '보다 높은 신'이 도대체 무엇을 말하는지 명확하지 않다는 것이다. 운명의 여신 노른이라고 하는 것이 보통인데, 라그나뢰크에 관한 신화에서는 한 번도 그녀의 이름이 나오지 않는다. 또 앞에서도 이야기했지만 불의 백성 무스펠로 보는 해석도 가능하다.


그러나 필자는 라그나뢰크 후에 하늘에서 내려오는 두 명의 남자가 '보다 높은 신'과 좀더 어울리는 설정이 아닌가 생각한다.1) 라그나뢰크 후의 세계에 관해서 아스 신들은 몇 가지밖에 예언을 남기지 않았다. 그 이유는 라그나뢰크 이후의 세계가 이미 아스 신들의 것이 아니라 하늘에서 내려오는 두 명의 남자에 의해 통치될 것이기 때문이다.






징조


라그나뢰크는 도대체 언제 오는 것일까? 그것은 알 수 없다. 어쩌면 북구가 기독교화되면서부터 그런 일이 일어나고 있었을지도 모른다. 신들도 거인도 이 세상에 없고, 그것을 믿는 자도 없어진 지금의 세상을 보면 그런 기분조차 든다.


그러나 라그나뢰크가 오기 전에 징조는 있다.


세 번의 여름 동안 날이 어두워지고, 세 번의 겨울 동안 혹독한 추위가 계속된다. 사람들은 서로를 배반하고, 이 세상은 싸움과 살해와 탐욕으로 가득 찬다. 법은 모두 없어진다. 그리고 태양과 달은 늑대에게 삼켜지고, 하늘은 피로 가득하다.


그에 이어 다가오는 것이 '핌불베트르(fimbulvetr : 큰 겨울)'라고 불리는 세 번의 겨울이다. 여름은 더 이상 오지 않는다. 바람은 차고 거칠며, 파도는 하늘까지 닿고 대지를 쓸어내린다. 눈은 사방에서 몰아치고 추위는 갈수록 더해갈 뿐이다. 지상 사람들의 대부분은 헬(저승)로 초대된다.


그리고······






서막


요툰헤임에서 한 마리, 아스가르드에서 한 마리, 니블헤임에서 한 마리의 수탉이 라그나뢰크의 시작을 알린다.


오딘의 전사 에인헤랴르는 눈을 뜨고 무장을 한다. 오딘과 헤임달은 미미르의 샘으로 달려가서 '미미르의 목'과 '걀라르호른'의 뿔피리를 손에 든다.


모든 포박이 풀리고 가룸은 저승에서, 펜리르 늑대는 글레이프니르의 족쇄에서, 그리고 로키는 자식의 창자로부터 풀려난다.


세계뱀 요르문간드는 해변가를 향하고, 대지는 움직이기 시작한다.


신들은 미미르의 목을 앞에 놓고 끝나지 않을 것 같은 회의를 한다. 뇨르드는 프레이야를 데리고 어디에 있는지 알려져 있지 않은 바나헤임으로 돌아간다. 거인과 드베르그는 싸움의 예감에 들떠 있다.


로키는 우선 요툰헤임으로 달려가서 거인족의 우두머리 흐림(Hrymr : 늙은이)을 데리고 불의 나라 무스펠스헤임으로 간다.


무스펠의 우두머리 수르트는 죽은 자들의 손톱으로 만든 나글파르라는 배를 풀어서 일족을 태운다. 그리고 로키는 니블헤임에 가서 저승을 지키는 개 가룸과 죽은 자들을 통솔해서 데리고 간다.


바다의 거인 에기르의 신전은 불에 뒤덮이고 그도 불타 죽는다.


수르트는 태양보다 밝게 빛나는 불꽃 검2)을 손에 들고 전신이 불에 뒤덮여 무지개 다리 비브로스트를 건넌다. 무스펠들은 말에 매달려서 따라간다. 무지개 다리는 그들이 서 있는 곳부터 무너져내리기 시작한다.


헤임달은 비브로스트의 위에 서서 뿔피리를 크게 불어 울려퍼지게 한다. 신들은 무장을 끝내고 비그리드(Vígrðr : 싸움의 말달리기)라고 불리는 사방 1천 킬로미터나 되는 평야에서 적을 기다린다. 하늘은 찢어지고 대지는 진동한다.


거인왕 흐림은 창을 들면서 요툰모드(거인의 분노)로 변한 일족들과 함께 공격해온다.


펜리르 늑대는 아래턱을 대지에, 위턱을 하늘에 대고서 이 세상의 모든 것을 삼켜버리려고 한다. 그 눈이나 코에서는 불이 뿜어져나오고 있다. 세계뱀 요르문간드는 독을 내뱉으면서 대지를 기어가고 있다. 싸움의 막이 이제 막 열리기 시작했다.






돌입


처음에는 펜리르 늑대가 신들의 왕 오딘을 삼켜버린다. 그러나 곧바로 비다르가 늑대의 턱을 찢고 심장에 검을 꽂아 아버지의 원수를 갚는다.


옆에서 싸우고 있던 것은 토르였다. 격렬한 전투 끝에 토르는 세계뱀 요르문간드를 죽인다. 그러나 그는 비틀거리며 아홉 발짝 뒤로 물러나더니 그 자리에 쓰러져 숨이 끊어지고 만다. 뱀의 독은 이미 천둥신의 몸에 퍼지고 있었던 것이다.


로키와 헤임달은 서로의 몸에 서로의 몸을 비벼대는, 기괴한 주검의 모습을 취하고 있다.


길게 이어지는 죽은 자의 무리들을 상대하고 있던 티르도 가룸과 무승부가 되었다. 만일 티르의 오른팔이 무사했더라면 승패는 달라졌을지도 모른다.


에인헤랴르와 발키리아들은 거인과 무스펠들을 상대로 싸웠으며, 그 대부분은 영원한 죽음의 길로 떠나갔다.


모든 자가 죽었고, 전쟁터에 남은 것은 단 둘뿐이었다.


그리고 사슴의 뿔을 손에 든 프레이가 불꽃 검을 가진 수르트에게 다가갔다. 이때 그 '스스로의 힘으로 거인을 쓰러뜨리는 검'이 있었더라면······.


프레이는 죽음을 당했고 세상에 남은 것은 단 하나 수르트뿐이었다. 수르트는 검을 번쩍이며 세상에 불을 질렀다.


세계수 이그드라실은 비명을 내지르며 타기 시작하고, 수르트는 어디론가 사라진다. 대지는 바다에 삼켜지고, 별들은 하늘에서 떨어지고, 모든 것을 태워버린 불꽃만이 하늘을 붉게 물들이고 있다.


단 하나 니블헤임에 있는 비룡 니드호그와 독수리 흐레스벨그만이 계속해서 밀려오는 죽은 자를 먹기 위해 서로 싸우고 있는 모습이 보일 뿐이다.


세계는 이렇게 종말을 맞이한다······.






새로운 세대


시편은 라그나뢰크 이후까지 예언을 하고 있다. 라그나뢰크라는 대재앙 이후에 세례를 받고 새로운 세계가 태어나는 것이다(피를 흘리지 않으면 새로운 세대는 태어나지 않는 것일까?). 바다로부터 신록이 넘치는 새로운 대지가 올라온다. 거기에는 생명이 가득하고 죽었던 신들이 새롭게 태어난다. 발드르와 호드는 손을 맞잡았고, 비다르와 발리는 아버지 오딘이 남긴 발홀의 저택에서 살아간다.


토르의 아들 모디와 마그니는 묠니르 해머를 가지고 놀고 있다. 이름도 모르는 오딘 형제의 자식들이 하늘에 '빈드헤임(Vindheimr : 바람의 나라)'이라는 이름의 저택을 짓는다. 그리고 헤니르가 신들의 제사장이 되면서 새로운 세계가 시작된다.


태양은 늑대가 삼켜버리기 전에 한 명의 딸을 낳았다. 그녀는 성장해서 새로운 대지를 비춰주고 있다. 거기에는 재앙이 없고, 씨를 뿌리지 않아도 작물에 열매가 맺혔다. 새와 물고기들도 기쁜 듯이 놀고 있다. 그 생명력은 도대체 어디서 온 것일까?


인간은 '호드미미르(Hoddmímir : 저장하기 위한 물을 가져오는 것)'의 숲 속에 숨어 아침 이슬을 먹으면서 살아남는다고 전해진다. 이 호드미미르가 어디 있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남자 리브(Lif : 생명)와 여자 리브스라시르(Lífþrasir : 생명의 외침)라는 이 두 사람이 최후의 인간이었다.


이 둘로부터 새로운 세대의 인간들이 태어날 것이다.




강림


라그나뢰크의 재난으로부터 피할 수 있었던 장소가 두 군데 있었다.


한 곳은 앞에서도 이야기했지만 저승 니블헤임이다. 비룡 니드호그는 여전히 죽은 자의 몸을 먹고 있다.


그리고 또 한 곳은 기믈레를 비롯한 천상의 세계이다. 거기에는 마음 착한 사람들과 요정들이 모여 서로 이야기를 하고 있다.


그 천상의 세계에서 한 명의 힘있는 자가 내려왔다. 누구보다도 강한 힘을 갖고 있으며, 모든 인간과 피를 나눈 자가 이 세상을 다스리기 위해 내려온 것이다. 그 모습을 보고 니드호그는 죽은 자를 등에 업고 사라져간다. 저승 니블헤임은 이 힘있는 자에 의해 멸망하고 말 것인가? 그리고 또 다른 한 명의 초월자가 내려온다.


예언은 여기까지다.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라그나뢰크 [ragnarǫkkr, ragnarǫk] - 신들의 황혼 (켈트·북구의 신들, 초판 2000., 10쇄 2010., 도서출판 들녘)






라그나로크


라그나로크(고대 노르드어: Ragnarǫk)는 노르드의 말세 신화이다. 정확히 말하자면 라그나로크란 미래에 일어날 것이라고 예언되는 일련의 사건들로, 거대한 전쟁이 일어나 신화의 주요 등장인물 대부분이 사망하고, 다종다양한 자연재해가 닥치며, 최종적으로 세계가 물에 잠겨 멸망한다. 그 뒤 풍요로운 신세계가 물속에서 솟아나고, 살아남은 신들이 재회하며, 두 명의 인간 생존자로부터 다시 세상은 인간들이 넘치는 곳이 될 것이라고 한다. 라그나로크는 노르드 문화에서 매우 중요한 사건이며, 다양한 학술적 연구 및 이론의 대상이 되고 있다.


13세기 이전의 서사시들을 모아놓은 《고 에다》가 라그나로크에 대한 언급이 이루어지는 주요 문헌이며, 13세기에 아이슬란드의 스노리 스툴루손이 쓴 《신 에다》도 함께 중요하게 다루어진다. 여기서 이 사건은 라그나로크(고대 노르드어: Ragnarǫk) 또는 라그나뢰크(고대 노르드어: Ragnarøkkr)라고 표기되는데, 각각 "신들의 운명", "신들의 황혼"이라는 뜻이다. 19세기 작곡가 리하르트 바그너가 자기 오페라 《니벨룽겐의 반지》의 마지막 작품에 《신들의 황혼》(1876년)이라는 제목을 사용한 이후 이 용어도 널리 사용되게 되었다.






어원


"라그나로크"(ragnarǫk)라는 고대 노르드어 단어의 해석은 오랫동안 이루어져 왔다. 단어를 이루는 첫 번째 부분인 "라그나"(ragna)는 "레긴"(regin)의 복수형 소유격이며, "지배하는 권력자들, 신들"을 의미한다. 두 번째 부분은 "로크"(-rǫk)와 "뢰크"(-røkkr)라는 두 가지 형태가 나타나기 때문에 다소 어려움이 있다. 조에가의 《고대 아이슬란드어 사전》은 두 형태를 서로 별개의 것으로 취급하고 "라그나로크"는 "신들의 파멸 또는 파괴"로, "라그나뢰크"는 "신들의 황혼"이라고 해석했다(1910년).


복수형 단어 "로크"는 "국면, 기원, 원인, 관계, 운명" 등의 다양한 의미가 있다. "라그나로크"라는 단어 전체를 보통 "신들의 최후 운명"이라는 뜻으로 풀이된다.


단수형 단어 "라그나뢰크"는 《고 에다》 중 〈로키의 말다툼〉 제39절과 《신 에다》에서 발견된다. 명사 "뢰크"(røkr, røkkr)는 "황혼"을 의미하며(동사 뢰크바røkkva가 "어둠이 자라다"는 뜻이다), 이에 따라 "신들의 황혼"이라는 풀이가 제기되었다. 현재 이것은 민간어원으로 인한 신화 내용의 오염, 또는 1200년경 아이슬란드어에서 /ǫ/ 와 /ø/가 하나로 합쳐지면서 아이슬란드에서 발생한 표현이라는 것이 널리 받아들여지는 생각이다. 그런데 2007년에 하랄두르 베른하드손은 단수형 "뢰크"가 노르드 원어에도 있었던 표현일 수 있다는 이론을 제기했다. 하랄두르는 "라그나로크"와 "라그나뢰크"가 어원적으로 의미적으로 밀접한 연관이 있으며, "신들의 힘의 부활"이라는 뜻이 있다는 설을 제기한다.


《고 에다》에서 발견되는 라그나로크를 가리키는 다른 표현으로는, 〈바프스루드니르가 말하기를〉 제39절의 "알다르 로크"(aldar rǫk; "시대의 종말"), 〈바프스루드니르가 말하기를〉 제38절 및 제42절의 "티바 로크"(tíva rǫk), 〈바프스루드니르가 말하기를〉 제47절의 "타 에르 르겐 데위야"(þá er regin deyja; "신들이 죽는 때"), 〈바프스루드니르가 말하기를〉 제52절과 〈로키의 말다툼〉 제41절과 〈시그르드리파가 말하기를〉 제19절의 "운즈 움 류파스크 레긴"(unz um rjúfask regin; "신들이 파괴당하게 될 때"), 〈훈딩을 죽인 자 헬기의 두 번째 서사시〉 제41절의 "알다르 로프"(aldar rof; "시대의 파괴"), 〈휜들라의 시〉 제42절의 "레긴 트료타"(regin þrjóta; "신들의 종말")이 있다. 그리고 《신 에다》에서는 〈길피의 속임수〉 제18장과 제36장에서 "타 에르 무스펠즈쉬니르 헤르야"(þá er Muspellz-synir herja; "무스펠의 아들들이 전투에 참가할 때")도 있다.


출처 : https://ko.wikipedia.org/wiki/%EB%9D%BC%EA%B7%B8%EB%82%98%EB%A1%9C%ED%81%AC





✩‧ ₊˚ * .⋆ ·ฺ⁺˚ ᘏ⑅ᘏ ₊ * ⋆ ·ฺ. ✩* . ⋆·ฺ . ⁺˚
‧₊˚.⋆·ฺ.∗̥✩⁺˚ ੈ‧˚૮꒰˵• ﻌ •˵꒱აੈ✩‧₊˚ੈ*:゚*。.⋆·ฺᐝ.∗̥⁺˚